본문 바로가기
경제 이슈/세금

세금의 종류와 세금이 계산되는 원리

by ꒰⍥꒱ 2022. 8. 7.

오늘은 세금의 종류와 세금 계산 구조를 책 '합법적으로 세금 안 내는 110가지 방법'을 바탕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불필요한 세금을 내지 않기 위해서는 세금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복잡하고 어려워 보이지만 하나씩 정리해가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첫 단계로 가장 기본이 되는 세금의 종류와 구조를 설명하겠습니다.

 

 

 

세금의 종류

세금은 크게 국세와 지방세로 나뉩니다. 국가가 나서서 거두는 세금이 국세, 지방자치단체가 나서서 거두는 세금이 지방세입니다. 세금은 우리가 어떤 것을 하는지에 따라 다르게 부과됩니다.

 

첫 번째로, 우리가 소비할 때는 다음과 같은 세금을 내야 합니다.

  • 물건을 살 때 : 부가가치세 (물건값의 10%)
  • 자동차나 유류 등을 구입할 때 : 부가가치세 + 개별소비세
  • 담배를 살 때 : 부가가치세 + 개별소비세 + 담배소비세

 

두 번째로, 우리가 돈을 벌면 세금을 내야 합니다. 근로소득자라면 근로소득세, 자영업자라면 사업소득세, 부동산을 임대하면 임대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또한 부동산을 파는 과정에서 소득이 발생하면 양도소득세가 붙습니다.

 

마지막으로, 돈을 다른 사람에게 줄 때 세금을 내야 합니다. 죽은 뒤 재산이 이동할 때는 상속이라고 하며 상속세를 내야 하고, 죽기 전 재산을 줄 때는 증여라고 하며 증여세를 내야 합니다.

 

 

세금 계산 구조

세금을 줄이려면 개념을 정확히 알고 세금 계산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금은 순소득 기준으로 과세하며 순소득이란 내가 번 돈에서 돈을 벌기 위해 필요한 경비를 제외한 소득을 말합니다. (수입금액 - 필요경비)

 

 

세금은 어떤 돈이 기준이 되는지 파악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근로소득세의 세금 계산 구조를 살펴보면 필요경비는 공제라는 단어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세금은 순소득에 대해 과세한다고 했는데, 내가 번 돈에서 급여에 따라 달라지는 근로소득공제와 개인의 사정을 고려한 종합소득공제를 제외한 금액을 기준으로 세율을 적용하여 세금이 결정됩니다.

 

  • 납부 세액 : 산출세액 - 세액공제 - 기납부세액
  • 산출세액 : 과세표준 * 세율
  • 근로소득 과세표준 : 근로소득금액 - 종합소득공제 (인적공제, 특별공제)
  • 근로소득금액 : 총급여 - 근로소득공제

 

양도소득세의 세금 계산 구조도 같은 개념으로 생각해보겠습니다. 살 때와 팔 때 가격 차이에서 필요한 경비를 빼고 장기보유 기간에 따른 특별공제, 양도소득 기본공제를 제외한 금액을 기준으로 세율을 적용하여 세금이 결정됩니다.

 

  • 납부 세액 : 산출세액 - 기납부세액
  • 산출세액 : 과세표준 * 세율
  • 양도소득 과세표준 : 양도소득금액 - 양도소득 기본공제
  • 양도소득금액 : 양도차익 - 장기보유 특별공제
  • 양도차익 : 양도가액 - 필요경비

 

세금이 어떤 종류가 있고 어떻게 계산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어렵게 생각했던 세금이지만 기본부터 알아가며 전략을 세운다면 아무리 복잡한 세금 문제라도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