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종합소득금액이 계산되는 방법과 소득에 따른 세율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그리고 이 종합소득에 따른 세율을 따라 세금을 계산하고 누진공제액, 한계세율에 대한 개념까지 설명하겠습니다.
종합소득금액
먼저 세금은 내가 번 돈을 다 합해서 세율이 적용될 것 같지만 상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기 때문에 이를 알아야 합니다. 근로소득은 다른 소득(이자, 배당, 사업, 부동산 임대소득)이 있으면 합산(종합합산)되어 과세되지만 양도소득은 종합과세 항복과는 별도로 과세됩니다. 그 이유는 종합과세 항목은 단기간에 걸쳐 발생하고 양도소득은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항목이기 때문입니다.
종합합산과세 소득 종류
- 이자, 배당소득 : 연간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해야 종합과세
- 근로, 사업, 부동산 임대 소득 : 무조건 종합과세 (주택임대소득 제외)
- 연금소득 : 연간 사적 연금소득이 1,200만 원 초과해야 종합과세, 공적 연금은 무조건 종합과세
- 기타 소득 : 연간 소득금액이 300만 원을 초과해야 종합과세
여기서 주택임대소득의 경우 연간 2,000만 원 이하인 경우에는 분리과세를 원칙으로 하되, 납세자의 선택에 따라 종합과세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 기타 소득은 종합과세 금액 이하로 발생해도 의사에 따라 종합과세를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연금 소득이란 연금저축이나 퇴직연금 가입 등을 통해 발생하는 소득을 말합니다. 공적 연금(국민연금,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교직원 연금)은 금액과 관계없이 종합과세입니다.
분류과세 소득 종류
- 양도소득 : 양도차익이 발생하면 별도로 과세
- 퇴직소득 : 퇴직소득이 발생하면 별도로 과세
이처럼 세금을 덜 내려면 종합소득에 대한 개념을 알고 종합소득 금액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종합소득과 양도소득 기본세율
세율은 비례세율과 누진세율이 있습니다. 비례세율은 물건값에 일괄 10% 과세와 같은 개념이고 누진세율은 연말정산 할 때와 같이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세율을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종합소득 및 양도소득에 적용되는 세율
- 1,200만 원 이하 6%
- 1,200만 원 초과 4,600만 원 이하 15%, 누진공제액 108만 원
- 4,600만 원 초과 8,800만 원 이하 24%, 누진공제액 522만 원
- 8,800만 원 초과 1억 5,000만 원 이하 35%, 누진 공제액 1,490만 원
- 1억 5,000만 원 초과 3억 원 이하 38%, 누진 공제액 1,940만 원
- 3억 원 초과 5억 원 이하 40%, 누진 공제액 2,540만 원
- 5억 원 초과 10억 원 이하 42%, 누진 공제액 3,540만 원
- 10억 초과 45%, 누진 공제액 6,540만 원
여기서 누진 공제액이란 산출세액을 계산할 때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한 금액에서 빼는 금액을 말합니다. 누진 공제액은 세금 계산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미리 계산해둔 값인데요. 예를 들면 과세표준이 4,500만 원이었다가 5,000만 원으로 오르면 소득 단계가 바뀌었기 때문에 5,000만 원에 24% 세금을 내야 할 것 같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원칙적으로 세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되어야 합니다.
(1,200) * 6% + (4,600-1,200)*15% + (5,000-4,600)*24%
계산하면 72 + 510 + 96 = 678만 원 입니다.
하지만 누진 공제액으로 아주 간편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5,000 * 24% - 522 = 678만 원
한계세율
마지막으로 한계세율이란 마지막 한 단위 소득 증가분에 적용되는 세율이라고 정의합니다. 저는 이 말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했지만, 소득 구간에 해당하는 세율이라고 이해했습니다. 예를 들어 연봉이 5,000만 원이면 한계세율은 24%입니다.
한계세율을 알아야 하는 이유는 세금을 계산할 때는 위와 같이 구간별로 계산되는 세율이 다르지만, 소득공제를 받을 때는 해당 금액에 대해 자신의 구간에 해당하는 세율인 한계세율을 곱한 금액만큼 세금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맞벌이 부부가 연말정산을 할 때 연봉이 높은 사람에게 공제를 몰아주는 것이 좋다고 하는 이유가 바로 소득 구간이 높아 한계세율이 높으면 소득공제 항목에 대한 세금 절약액도 더 많기 때문입니다.
정리하자면 종합소득으로 분류되는 소득이 무엇인지 알고 나와 가족이 해당하는 세율 구간을 정확히 알아야 세금을 적게 낼 수 있는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어렵게 느껴지는 세금이지만 기본부터 알아가며 전략을 세운다면 아무리 복잡한 세금 문제라도 쉽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경제 이슈 > 세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말정산 기타소득공제 신용카드 소득공제 (0) | 2022.08.11 |
---|---|
연말정산 특별소득공제 주택자금공제 (청약, 전세자금대출) (0) | 2022.08.11 |
연말정산 인적공제 이해하기 (0) | 2022.08.10 |
연말정산 근로소득공제와 근로세액공제 계산 (0) | 2022.08.09 |
세금의 종류와 세금이 계산되는 원리 (0) | 2022.08.07 |
댓글